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닻을 올리나, 돛을 올리나?

“희망의 닻을 올렸다” “재도약의 닻을 올렸다”처럼 어떤 일을 새로 시작할 때 ‘닻을 올리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희망의 돛을 올렸다”와 같이 ‘닻’ 대신 ‘돛’이란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   ‘닻’과 ‘돛’은 표기가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단어다. ‘닻’은 배를 한 곳에 멈춰 있게 하는 기구다. 닻을 내리면 배가 멈춰 서고 반대로 닻을 올리면 배가 출발하게 된다. 그래서 ‘닻을 올린다’가 어떤 일을 시작한다는 관용적 표현으로 쓰이게 됐다.   ‘돛’은 배 바닥에 세운 기둥에 매어 펴 올리고 내리고 할 수 있게 만든 넓은 천이다. 배가 출항하려면 일반적으로 접혀 있는 돛을 잡아 올려 편다. 그래야 바람을 받아 배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돛을 올린다’는 표현 자체가 틀렸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돛은 출항할 때만 펴는 것이 아니라 운항 중에도 올렸다 내렸다 한다. 그래서 ‘돛을 올리다’가 ‘시작하다’는 의미의 관용구로 지정되진 않았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닻을 올리다’만 관용구로 올려 놓고 있다.   따라서 “순풍에 돛을 올렸다”에서와 같이 돛을 올린다는 사실 자체를 언급할 때엔 ‘돛을 올리다’는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희망의 닻을 올렸다”처럼 ‘어떤 일을 시작하다’는 비유적 의미로 사용할 때엔 ‘닻을 올리다’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우리말 바루기 관용적 표현 표현 자체 비유적 의미

2024-08-27

[우리말 바루기] 콩깍지가 '씐'

어떤 사람의 단점이 보이지 않고 장점만 보인다면? 이럴 때 흔히 쓰는 관용적 표현이 있다. 바로 ‘눈에 콩깍지가 씌다’이다. 그런데 이 표현은 자칫 틀리기 십상이므로 주의해 써야 한다.   “그런 행동을 하는 걸 보니 콩깍지가 단단히 쓰인 모양이다” “콩깍지가 씌운 상태에서는 남의 말이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등과 같이 쓰곤 한다. 이는 ‘쓰이다’와 ‘씌우다’를 활용해 쓴 것으로, 모두 잘못된 표현이다.   ‘씌다’는 ‘쓰이다’나 ‘씌우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준말이 아닌 하나의 자동사다. 따라서 그 자체로 ‘씐/씌고/씌니/씌면/씌어서’처럼 활용해 사용해야 한다.   ‘씌우다’는 ‘쓰다’의 사동사이므로 누가 내 눈에 콩깍지를 씌우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누군가 내 눈에 씌우는 것이 아니라 내 눈이 그것에 덮여 가려지는 것이므로 ‘콩깍지를 씌우다’는 표현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씌우다’를 활용한 ‘씌웠다’ ‘씌운’ 등도 이 경우 쓸 수 없는 표현이 된다.   ‘씌다’를 과거형으로 ‘씌였다’와 같이 쓰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나 ‘씌였다’를 분석해 보면 ‘씌+이+었+다’로, 불필요한 ‘-이-’가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콩깍지가 씌인 모양이다”처럼 ‘씌인’이라고 쓰기도 하나 이 역시 불필요하게 ‘-이-’를 집어넣은 것이므로 ‘씐’이라고 고쳐야 바른 표현이 된다.우리말 바루기 콩깍지가 관용적 표현

2024-05-15

[우리말 바루기] 닻을 올리나, 돛을 올리나?

“희망의 닻을 올렸다” “재도약의 닻을 올렸다”처럼 어떤 일을 새로 시작할 때 ‘닻을 올리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희망의 돛을 올렸다”와 같이 ‘닻’ 대신 ‘돛’이란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둘의 빈도가 비슷할 정도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   ‘닻’과 ‘돛’은 표기가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단어다. ‘닻’은 배를 한 곳에 멈춰 있게 하는 기구다. 보통 갈고리 모양을 한 쇳덩이 구조이며, 이것을 줄에 매어 물 밑바닥으로 가라앉히면 갈고리가 흙바닥에 박혀 배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닻을 내리면 배가 멈춰 서고 반대로 닻을 올리면 배가 출발하게 된다. 그래서 ‘닻을 올린다’가 어떤 일을 시작한다는 관용적 표현으로 쓰이게 됐다.   ‘돛’은 배 바닥에 세운 기둥에 매어 펴 올리고 내리고 할 수 있게 만든 넓은 천이다. 배가 출항하려면 일반적으로 접혀 있는 돛을 잡아 올려 편다. 그래야 바람을 받아 배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돛을 올린다’는 표현 자체가 틀렸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돛은 출항할 때만 펴는 것이 아니라 운항 중에도 올렸다 내렸다 한다. 그래서 ‘돛을 올리다’가 ‘시작하다’는 의미의 관용구로 지정되진 않았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닻을 올리다’만 관용구로 올려 놓고 있다.우리말 바루기 갈고리가 흙바닥 관용적 표현 표현 자체

2023-03-31

[우리말 바루기] 닻을 올리다

“희망의 닻을 올렸다” “재도약의 닻을 올렸다”처럼 어떤 일을 새로 시작할 때 ‘닻을 올리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희망의 돛을 올렸다”와 같이 ‘닻’ 대신 ‘돛’이란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둘의 빈도가 비슷할 정도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   ‘닻’과 ‘돛’은 표기가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단어다. ‘닻’은 배를 한 곳에 멈춰 있게 하는 기구다. 보통 갈고리 모양을 한 쇳덩이 구조이며, 이것을 줄에 매어 물 밑바닥으로 가라앉히면 갈고리가 흙바닥에 박혀 배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닻을 내리면 배가 멈춰 서고 반대로 닻을 올리면 배가 출발하게 된다. 그래서 ‘닻을 올린다’가 어떤 일을 시작한다는 관용적 표현으로 쓰이게 됐다.   ‘돛’은 배 바닥에 세운 기둥에 매어 펴 올리고 내리고 할 수 있게 만든 넓은 천이다. 배가 출항하려면 일반적으로 접혀 있는 돛을 잡아 올려 편다. 그래야 바람을 받아 배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돛을 올린다’는 표현 자체가 틀렸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돛은 출항할 때만 펴는 것이 아니라 운항 중에도 올렸다 내렸다 한다.   그래서 ‘돛을 올리다’가 ‘시작하다’는 의미의 관용구로 지정되진 않았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닻을 올리다’만 관용구로 올려 놓고 있다.   따라서 “순풍에 돛을 올렸다”에서와 같이 돛을 올린다는 사실 자체를 언급할 때엔 ‘돛을 올리다’는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희망의 닻을 올렸다”처럼 ‘어떤 일을 시작하다’는 비유적 의미로 사용할 때엔 ‘닻을 올리다’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우리말 바루기 갈고리가 흙바닥 관용적 표현 표현 자체

2022-11-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